클린미트라는 책을 접하고 여러 바이러스 책들과 기존에 읽던 책들이 연결 되며
나의 최대의 관심은 클린미트와 축산을 어떻게 줄일 것인가? 이다.
현재의 축산은 엄청난 폐기물처리시설과 폐기물과 온실가스와 부대기업들을 생산한다.
일단 닭 돼지 양 소 낙타 밍크 송어 전복 구더기등 까지 인간은 모든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키우려하고 한다.
자가 소비를 위한 것이 아니라 대량으로 생산하고 소비하기 위해 -근본적으로는 부의 생산을 위한 것이다-
많은 항생제와 더 많은 첨가제가 들어가 있는 배합사료를 먹인다.-사료공장, 첨가제공장, 항생제공장 등등
또한 사료를 운반하고 폐기물을 운반하는 운수회사와 유통회사등이 생기게 됐다.-유통회사,운수회사,폐기물회사
가축을 기르기 위해 유전자 변형 농작물을 기르고
그 많은 가축을 먹이기 위해 더 많은 물과 더 많은 유전자 변형 농작물을 기르고
그것을 먹은 가축은 분변을 내보내고 그 분변을 처리하기 위해 폐기물공장을 세워야 하며
가축을 고기로 생산하기 위해 도축장을 짓고 혈액을 폐기처분할 공장과 축산잔재물과 폐기물을 처리공장을 세워야 하고
그 공장을 운영하기 위해 화석연료를 사용해야 한다.
닭 한마리가 우리의 식탁에 오기까지 한달 목욕할 물이 필요하고 화석연료의 사용은 더욱 심할 것이며
악취과 대기오염 수질오염 및 토양오염의 요인들을 모두 다 감수했다고 하더라도
2020년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병의 중간매체로 가축이 당신에게 전염시키는 부분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지구의 개체의 수 만큼 많은 바이러스가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바이러스는 숙주에서 나가면 사멸해야 한다.
가축을 키우고 야생의 우리가 알지 못하는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동물들이 가축에 옮기고
옮기고 옮기는 많은 과정 중 바이러스가 변이되어 생존하고
가축을 키우는 인간에게 까지 옮기는 것이다.
식탁에 올라오는 우유 계란 고기한점으로 인해
우리는 하늘과 땅과 물을 내놓고 생명의 위협을 느껴야만 하는 시대에 살아가는 것이다.
가축을 기르는 농장이 사라진다면
물론 그것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은 없어질지 모르지만 인류를 지킬 수는 있을 것이다.
클린미트는 동물의 세포를 배양해 만든 고기를 말한다.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유전자 변형 곡물이나 항생제 투여하지 않는 깨끗한 고기를 생산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소 한 마리에서 얻은 샘플 하나당 고기 20톤, 즉 소 40만 마리 분량의 고기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1960년대 이후 지구상의 인구가 2배로 늘어나는 동안 육류 소비는 5배나 증가했다.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또 중국 인도 등의 인구대국의 경제발전과 함께 폭발적으로 고기 소비가 증가한 것이다.
지금도 미국에서는 매년 90억마리의 동물이 생산되고 도축되고 있다. 이처럼 증가하는 육류소비에 대응하기 위해 사람이 소비하는 콩보다
동물 사료로 사용되는 콩이 훨씬 더 많은 실정이다.
남미 등지에서는 오랫동안 목장으로 운영되어 오던 땅이 중국의 가축을 위한 사료용 작물 재배지로 바뀌고 있을 정도다.
목장을 운영할 때 보다 사료용 콩을 재배하는 것이 더 많은 이익을 주기 때문이다.
오는 2050년이면 지구상의 인구는 90억~100억 명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과거와 같은 비율로만 계산해도 고기의 소비는 어마어마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산된다.
하지만 효율성 면에서 보면 고기 생산은 문제가 많다. 곡물 24칼로리를 소비해야 겨우 고기 1칼로리를 얻는다.
지난 2013년 영국 기계학회가 낸 보고서에 따르면 소고기1kg을 생산하는데 드는 물은 1만5000리터지만
감자 1kg을 생산하는 데는 287리터면 된다.
인간이 고기를 먹고 싶어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벌어지는 낭비인 셈이다.
클린미트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더욱 뚜렷하다.
소고기 생산을 놓고 비교하면 같은 양의 고기를 생산하는데 클린 미트는 땅은 1%, 물은 4%만 있으면 된다. 온실가스 방출도 사실상 없다.
동물이 배설하는 온실가스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자동차 비행기 배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다 합한 것 보다 축산업에서 배출도니는 온실가스가 더 많다.
동물 사료용 식물을 생산하기 위한 경작지를 만들기 위해 엄청난 규모의 열대우림이 파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클린 미트는 환경에 획기적으로 기여 하게 된다.
클린 미트는 또 전염병의 위험도 사실상 없다.
구제역, 조류 인플루엔자, 아프리카 돼지열병 등은 인간에게는 두려운 병이다.
이는 동물을 사육하면서 발생하는 병이라서 세포 하나에서 고기를 만드는 클린 미트에는 병이 발생할 이유가 없다.
전염병이 돌면 멀쩡한 동물도 수만마리를 한꺼번에 생매장 하는 것을 보면 안타까움을 넘어 섬짓하기까지 하다.
게다가 사육환경은 또 얼마나 비윤리적인가, 사료의 효율을 높이려고 움직이지도 못하게 해 놓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발 하라리의 말 처럼 가축이 받고 있는 고통을 가늠한다면 동물의 공장식 사육은 단언컨대 역사상 손꼽히는 범죄행위이다
클린미트는 동물의 학대 없이 사육과 도살은 인류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만들고 깨끗한 고기를 섭취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건강 > 식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실서 만든 '세포배양 고기'식탁 오를까? / 클린미트 투자하는 빌게이츠외 (0) | 2020.10.31 |
---|